본문 바로가기

분배정치의 시대 - 제임스 퍼거슨 책을 끝까지 읽은 것은 아니지만, 글쓴이가 말하고자 요지는 이해할 수 있을 것같다. 그동안 복지의 개념으로 사회적 약자들에게 보조금으로서의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이아니라,사회적인 부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분배하고 기본 소득으로 지급하자는 것. 책 속에 제시된 사례들은 특수한 역사성을 지닌 남아프리카 지역이었기 때문에 그 방식이 어느 나라에나적용되고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진 않지만, 현재 잉여노동의 시대로 일자리에 비해 구직자들이 훨씬 많아 실업률이 높다는 점, 신 자본주의의 부작용으로 급격한 빈부의 격차와 그에 따른 사회적 기회의 불평등 등 공통적인 맥락을 설정한 후 소득 지급 실험을 진행한다면 우리나라의 사회에도 부작용을 극복하고 적용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거.. 더보기
4차 산업혁명 기존의 산업혁명과 마찬가지로 4차 산업혁명도 결과적으로 이 세계에서 사람이 개입해야 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된다. 사람이 개입해야만 하는 부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람이 필요 없어지는 것이고, 동시에 사람은 자유를 얻게 된다. 만약 사람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기에 가치가 존재하는 것이었다면 4차 산업혁명은 사람들의 가치를 떨어트리고 행복을 빼앗아 갈 것이다. 하지만 사람 존재 자체로써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면 4차 산업혁명은 그 사람이 더 가치 있는 일을 할 기회를 줄 것이다. 1인 기업가로 생존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 트렌드 변화에 유난히 민감한 영역은 피하는 것이 좋고 2-3년마다 변화에 따라 새로운 영역을 재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사회적 현상에 영향받아 문.. 더보기
2017.02.28 '인지적 오류' 습관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2172136015&code=940601 [부정적 정신습관] 임의적 추론 / 선택적 추상화 / 개인화 / 이분법적사고 / 파국화 반추 / 걱정 / 무망 / 자기도피 더보기